사라져가는 세계의 소수민족과 현재의 사진
-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 2016. 10. 1. 08:12
영국 사진작가 지미 넬슨은 자신의 저서인 'Before They Away (그들이 멸망하기 전에)'를 통해 세계의 귀중한 유산이기도 한 부족의 생존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사진 속의 그들은 귀중한 문화의 보호자이며 그들의 영광을 차세대에 계승하길 바란다며, 부족들의 모습 외에도 그들의 생활과 전통 등을 400여 페이지에 걸쳐 소개했는데, 일부를 소개해 드립니다.
사라져가는 세계의 소수민족 기록 사진
1. 아사로족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전설적인 아사로족의 미친 남자(진흙 남자)가 서양 세계에 처음 알려진 것은 20세기 중반의 일이었습니다. 먼 옛날부터 아사로족은 종종 몸에 진흙을 바르고, 진흙으로 만든 가면을 쓰고 이른 아침에 다른 마을을 방문하여 위협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우카이족 (중국)
우카이 어업을 전통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3. 마사이족 (케냐, 탄자니아)
마사이족은 타고난 위대한 전사들입니다. 인간임을, 전사임을 어릴 적부터 배우기 시작하는 그들의 전통은 현대에서는 희귀한 문화가 되고 있습니다.
4. 네네츠족 (시베리아 야말 반도)
네네츠족은 순록을 기르는 유목민으로 "야말 반도"를 횡단하면서 살고 있으며 겨울에는 영하 50도, 여름에는 35도의 기온 차이를 극복하는 민족으로 그들의 번영은 천 년간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그들의 연간 이동거리는 1,000km 가 넘습니다.
5. 코로와이족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코로와이족은 소수 파푸아뉴기니의 부족 중 하나로 남성 성기에 장신구를 붙이지 않고, 대신 음낭 속에 음경을 숨기고 한 장의 잎으로 가립니다. 그들은 남녀의 엄격한 분리를 고집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6. 야리족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야리족은 고원의 원시림에 살고 있습니다. 남성의 신장이 약 150cm인 그들은 공식적으로 피그미족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야리족의 남성은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 성기에 코테카라는 조롱박으로 만든 장신구를 붙이는 관습이 있습니다.
7. 카로족 (에티오피아)
아프리카 오모 계곡에 사는 원주민. 이 땅에는 약 20만 명이 1,000년 동안 살고 있습니다. 그들은 식량과 가축이나 의류 등을 오랫동안 물물교환하였고, 최근에는 총과 총알을 교환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도로가 존재하고 맥주와 음식도 볼 수 있습니다.
8. 데사넷쿠족 (에티오피아)
이 부족은 엄밀하게는 어느 부족에 속하는지 알 수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9. 화오라니족 (에코도르)
천 년 동안 에콰도르의 아마존 열대 우림인 오리엔테는 화오라니족의 고향이 되고 있습니다. 그들의 부족 이름인 화오라니는 인간 또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1956년까지 외부와 일체 접족을 하지 않은 부족입니다. 이 부족은 아르헨티나 지방에 있는 과라니족과 혼동하기 쉽지만 다른 부족입니다.
10. 바누아투족 (바누아투)
바누아투족의 대부분이 부(富)는 의식을 통해 얻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의 문화에 있어서 춤은 중요하고 많은 사람들이 전통 춤을 춥니다.
11. 라다크족 (인도)
라다크족은 이웃나라 티베트의 신앙과 공통점이 있습니다. 티베트 불교를 신앙하고 있는 것입니다. 불교 이전의 티베트 불교는 천 년 전부터 라다크의 종교가 있었습니다.
12. 무르시족 (에티오피아)
무르시 전사는 말굽 형의 상처를 몸에 지니고 있고, 여성은 오른팔에 깊은 상처를 새깁니다. 매우 뛰어난 전사는 허벅지에도 새기기도 합니다.
13. 라바리족 (인도)
라바리족은 거의 천년 동안 현재의 서인도 지역의 사막과 평야를 둘러싼 생활을 계속했습니다. 라바리 족의 여성은 부족에게 매우 중요한 전통인 '천 만들기'와 '자수'를 하면서 보냅니다. 그리고 남자들이 가축을 방목하고 있는 동안 마을과 금전도 관리합니다.
14. 앙상블족 (케냐, 탄자니아)
앙상블족은 가축 먹이를 위해 약 1개월에서 2개월을 이동하면서 생활합니다. 그들은 독립적인 평등주의에서 마사이족보다 전통을 존중합니다.
15. 무스탄족 (네팔)
그들의 대부분은 아직도 세계가 평평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신앙심이 매우 강하고, 기도나 제사가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습니다. 현재 티베트의 문화는 소멸의 위기에 직면하고 진정한 티베트 문화가 살아 있는 민족 중 마지막 부족으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무스탄족이 외부인을 받아들인 것은 1991년 이후였습니다.
16. 마오리족 (뉴질랜드)
마오리는 여러 신이 나 여신과 영혼을 숭배하는 우상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오리들은 자신들을 지켜보는 조상과 초자연적인 존재가 만일의 경우에는 자신들을 도와준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화는 먼 옛날부터 내려오는 것으로 우주의 창조와 하나님과 인간의 기원에 얽힌 마오리의 사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7. 고로카족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고원 마을에서 검소한 생활을 영위하며 사냥이나 식물 채집과 농작물에서 양질의 식량을 수확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긴밀한 가족 관계와 자연의 경이로움에 깊은 존경심을 품고 있습니다. 또한 현지에서의 싸움은 빈번하며, 남자들은 화장과 장식으로 적에게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해 상당히 노력합니다.
18. 프리족 (파푸아뉴기니)
땅과 돼지, 여자를 둘러싸고 싸우는 원주민. 적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19. 암말족 (나미비아)
외모를 매우 중시하고 외모로 계급이 주어지며, 생활에도 영향을 줍니다.
20. 카자흐족 (몽골)
매사냥은 그들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유지하고 있는 수많은 전통과 기술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동족과 가축에 의존하는 생활을 하고 하늘, 조상, 불, 그리고 선과 악의 영혼을 가진 초자연적인 힘을 숭배하는 이슬람 이전의 신앙을 가집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 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