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nopoo 2016. 6. 29. 14:00
아침 골반 스트레칭이 좋은 이유는 자고 있는 사이에 굳어 버린 골반 주위의 근육을 풀어 움직이는 것으로 하루를 아름다운 자세로 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침에 스트레칭을 실시하는 것으로 림프의 흐름과 혈액 순환이 좋아져 기초 대사가 올라갑니다. 아침에 기초 대사량을 올려두면 신진 대사가 높아진 상태에서 하루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번에는 틀어진 골반을 개선하고 기초 대사의 업에 의한 다이어트효과가 있는 골반 스트레칭을 소개합니다. 일어나서 쉽게 하는 굴곡 스트레칭 골반이 틀어지는 공통점은 척추 - 골반 - 대퇴골(허벅지)에 걸쳐있는 장요근(腸腰筋)이 뭉치는 것입니다. 여기를 풀어 왜곡을 개선합시다. 1. 누워서 양손을 위로 뻗어 올립니다. 상체는 견갑골이 위쪽으로 ..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nopoo 2016. 5. 24. 16:29
횡경막 탈장의 증상횡경막은 폐의 아래쪽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으로 된 막으로, 공기를 내쉴 때는 아래에서 밀어올려 폐를 수축하고 공기를 들이마실 때는 폐를 부풀게 합니다. 이 횡경막에 어떠한 원인으로 열상이 생기면서 복부 장기가 가슴쪽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횡경막 탈장이라고 합니다. 증상은 튀어 나온 장기에 따라 다르지만 위가 탈출한 경우는 구토나 구역질, 속쓰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횡경막 탈장의 원인대부분은 선천적으로 유전이나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횡경막이 손상되어 이곳을 통해 복부 장기가 밀려 올라가거나, 후천적인 것은 비만이나 임신 드응로 복부 장기가 압박하는 것과 외상 등이 원인이 됩니다. 치료방법선척적인 경우는 횡경막의 구멍을 막는 수술을 합니다. 후천적인 경우는 속쓰림 정도의 가벼운 증상..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nopoo 2016. 5. 13. 16:55
겨드랑이 땀 냄새를 걱정하는 분들이 많은데 "평소의 식생활을 재검토"하고 "식사에 조금만 유의"하면 땀 냄새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식생활에서 냄새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겨드랑이 땀 냄새의 원인은가장 큰 원인은 긴장과 불안 등의 스트레스입니다. 사람은 강한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 놓여지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 아포크린이라는 땀샘에서 땀을 내게 됩니다. 이 땀은 지질과 단백질, 암모니아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땀 자체는 냄새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 땀을 영양으로 피부 표면에 있는 세균이 번식하여 독특한 겨드랑이 땀 냄새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또한 운동부족으로 신진대사가 나빠져, 아포크린 땀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분비되어 세균의 번식을 촉진합니다. 또..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nopoo 2016. 4. 7. 18:34
과소월경과 짧은월경 과소월경의 증상 = 과소월경이란 생리혈의 양이 30ml 이하로 적은 것을 과소월경이라 하며, 2일 정도로 지나치게 짧은 것을 짧은 월경이라고 합니다. 과소월경의 원인 = 자궁 발육이 불완전하거나 임신 중절에 의한 자궁 내강의 유착, 난소 기능 저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사춘기와 갱년기, 출산 후에도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그중에는 난소와 자궁은 정상인데 양이 적은 경우도 있습니다. 과소월경의 치료 = 난소에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호르몬요법으로 치료하며, 자궁의 이상에 의한 것은 증상에 따른 치료를 실시합니다. 생리혈의 양과 생리 기간이 평균보다 적더라도 매달 제대로 생리가 된다면 치료의 필요는 없습니다. 과다월경과 과장월경과다월경의 증상 = 월경의 출혈량이 너무 많은 것을 ..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nopoo 2016. 3. 25. 19:20
과민성 쇼크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방법 ▶ 과민성 쇼크 증상일레르기 반응 중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이는 상태로 전신에 심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원인 물질이 체내에 들어오면 몇 분에서 1시간 정도 지나면 얼굴이 창백해지고 입이나 손발의 저림, 두드러기, 호흡곤란,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혈압저하에 의한 쇼크 상태에 빠져 생명을 위협 할 위험성도 있다고 합니다. ▶ 과민성 쇼크 원인살균제, 혈액제제, 조영제 등의 약물이나 특정 음식, 벌의 독 등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과민성 쇼크 치료 방법쇼크를 일으키는 경우는 긴급 구명 처치로서 기관지의 부종으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기도를 확보하고 산소 흡입을 실시합니다. 쇼크 상태에서는 혈압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