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전 우울증 개선하는 식품 성분 3가지
-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 2016. 1. 9. 14:19
생리전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보충제를 이용합니다. 최근에는 그 연구가 진행되어 더 효과적인 성분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생리전 우울한 기분을 개선하는 식품과 성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좌절과 우울함 등 생리전에 일어나는 마음의 변화는 매달 괴로운 것입니다.
이럴 때 보충제를 이용하여 개선을 한다면 생리통에 한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생리전 우울증에 효과적인 보충제 성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생리전 우울증을 개선하는 대표적인 성분 : 좌절과 우울함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주요 성분은 테아닌, γ-리놀렌산, 체스트 트리(순결나무)가 있습니다.
▶ 테아닌
녹차에 많이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녹차에는 테아닌뿐만아니라 흥분 작용이 있는 카페인도 동시에 섭취를 하므로 너무 많이 마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진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테아닌이 함유된 보층제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마음의 균형이 무너질 것 같은 때 부드럽게 작용하여 줍니다.
▶ γ-리놀렌산
달맞이꽃과 달맞이꽃에 포함되어 있는 지방산의 일종으로 여성호르몬의 밸런스를 정돈하는 작용을 합니다. 마음의 부진뿐만 아니라 생리통 등 몸의 부진도 커버해주는 여성에게 좋은 성분입니다.
생리전이나 생리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섭취하면 호르몬 밸런스를 정돈할 수 있습니다.
▶ 체스트 트리
호르몬 균형을 정돈해주는 허브의 종류로 순결나무, 처녀나무로 불립니다. 불임 치료나 모유의 성분을 좋게하려고도 사용되고 있으며, 일상적으로 마시면 호르몬 균형을 정돈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마그네슘과 비타민 B6 가 통증과 우울, 좌절, 부종해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칼슘과 비타민 D는 기분의 변화와 식욕의 증가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보충제는 의약품과 같은 즉효성은 없지만 계속 마심으로써 몸과 마음의 상태를 무리없이 가꾸어 나갈 수 있습니다. 생리전 기간도 편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각 식품 성분을 일상에 자주 이용합시다.
의외의 효과를 개대할 수 있는 태반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는 태반이지만 호르몬 균형의 변화에서 오는 생리전 우울증과 불편, 긴장을 완화하고 자율신경의 기능을 갖추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생리전 증후군(PMS)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태반이 사용되는 곳은 병원에서 진찰한 후 전문 의사가 처방하는 주사약과 내복약,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 미용제품으로 화장품이 있습니다.
주사약은 즉효성은 있지만 기간을 두고 맞아야 하며, 내복약이나 보충제는 즉효성은 없지만 천천히 지속적으로 효과가 나타납니다.
태반 보충제는 종류가 풍부하고 돼지나 말 등 그 재료도 다르기 대문에 섭취시 안정성을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을 고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