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와 색온도

세련된 사진을 위해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를 익히자

우리의 눈이 특정한 색상을 볼 수 있는 건 가시광선에 포함된 여러 가지 색상 중에서 특정한 색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적색의 단풍잎을 보고 있다면, 단풍잎이 가시광선 중에서 적색만을 반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눈에 적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광의 경우 모든 색을 일정한 비율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색이 강하게 보이거나 약하게 보이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내에서 사용하는 조명의 상당수는 태양광과 달리 특정한 색을 강하게 포함하고 있어서, 피사체가 정상적인 색상으로 보이지 않고 조명의 색상을 반영해 실제와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화이트 밸런스란 무엇일까요. 정육점에 가면 고기가 놓인 곳에 적색의 조명이 켜져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 건 적색 조명을 받은 고기의 색이 더욱 돋보이기 때문입니다. 백열등 아래에서 사진을 촬영하면 전체적으로 황색이 강하게 보이는 것도 백열등 고유의 색상이 사진에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필름 카메라는 이러한 조명의 색상을 사진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렌즈 앞에 별도의 필터를 장착해 사진의 색상을 바로잡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는 내부에서 간단히 색상만 보정하면 피사체가 원래 지니고 있는 색상을 쉽게 되찾을 수 있습니다.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는 조명의 특정한 색상 때문에 왜곡된 피사체의 색상을 원래대로 보이게 만드는 기능입니다. 백색은 모든 색을 동일하게 반사하므로 조명의 색상을 가장 잘 반영합니다. 사진을 촬영할 때 조명의 색상이 반영되어 있는 백색의 피사체를 원래의 백색으로 만들어주면, 다른 피사체에 영향을 주는 조명의 색상도 동일하게 제거되므로 피사체의 원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화이트 밸런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백열등 아래에서 백색의 종이를 오토 화이트 밸런스 모드로 촬영하면 종이가 백색으로 보이지 않고 백열등의 색상을 반영한 상태로 보입니다. 이 종이의 색상을 다시 백색으로 만들어주면 주변의 다른 피사체에 영향을 주었던 백열등의 색상 또한 사라지므로 정확한 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할 때 많이 사용하는 조명에 대해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마련해놓고 있습니다. 보통 태양광, 흐림, 그늘, 백색 형광등, 백열등, 플래시와 같은 조명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 모드가 제공되므로 촬영 환경에 맞는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적절히 설정해서 촬영하면 됩니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는 카메라가 현재 조명의 색상을 자동으로 분석해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적당한 수준의 색상을 만들어주지만, 완벽하지는 않기 때문에 피사체의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맑은 날 태양광 아래에서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 오토 화이트 밸런스나 태양광 모드를 사용하면 가장 적당한 색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맑은 날 그늘에서 인물 사진을 촬영하면 다소 푸르스름하고 차가운 느낌의 사진을 얻게 되는데, 그늘에서는 태양광이 피사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맑은 하늘의 푸른 색상이 피사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맑은 날 그늘에서 촬영할 때는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그늘’로 설정해야 좀 더 정확한 색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제공하지만, 특정한 환경에서는 화이트 밸런스를 정상적으로 설정할 수 없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카메라는 고급 사용자를 위한 화이트 밸런스 모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색 온도 설정 기능과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기능이 대표적인 고급 설정 모드입니다.



카메라 색온도 설정이 중요합니다. 색 온도는 사진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조명의 색상을 K(Kalvin)라는 단위로 분류해놓은 것입니다. K는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색 온도’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색 온도가 높을수록 조명의 색상은 청색에 가까워지며, 색 온도가 낮을수록 조명의 색상은 적색에 가까워집니다. 그런데 카메라에서 색 온도 설정을 변경하면 반대의 결과가 나옵니다. 색 온도 설정을 낮게 하면 사진에 청색이 더해지고, 높게 하면 적색이 더해지는 것입니다.


색 온도 설정은 화이트 밸런스라는 개념을 알고 있다면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색 온도가 낮은 조명은 적색에 가까우므로 사진에 적색이 반영됩니다. 그래서 보색인 청색 계열의 색을 더해야 화이트 밸런스가 맞게 되며, 색 온도가 높은 조명은 청색에 가까우므로 보색인 적색 계열의 색을 더해야 화이트 밸런스가 맞게 됩니다. 색 온도라는 개념과, 카메라에서의 색 온도 설정은 반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는 사용자가 직접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보통 백색의 종이를 촬영해서 카메라에 입력하거나, 렌즈 앞에 백색 종이를 놓고 특정한 버튼을 눌러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어떠한 조명의 색상이든 상관없이 화이트 밸런스를 맞출 수 있으므로 촬영 시 많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할 때 유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은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의 색상입니다. 보통 A4 용지와 같은 백색 종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A4 용지도 순수한 백색은 아니기 때문에 100%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할 수 있는 도구는 아닙니다.


카메라 제조사에서는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위해 그레이 카드 사용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그레이 카드에 칠해져 있는 회색은 채도가 없는 순수한 무채색이므로 백색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의 경우 꼭 백색이 아니어도 무채색이라면 설정하는 데 문제가 없는데, 조명의 색상을 반사하지 않는 검은색만 제외하면 무채색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특히 그레이 카드의 경우 완벽한 무채색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기에 적당한 도구입니다.


아쉬운 점은 시중에서 그레이 카드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그레이 카드가 촬영 일선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되면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노출이나 색상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 카드를 제조했던 코닥이 파산 신청을 하고 더 이상 생산을 하지 않게 되면서 높은 품질의 그레이 카드를 구할 수 없게 된 것은 매우 아쉬운 부분입니다

-사진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59가지 중에서-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