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구멍이 2개인 이유는? 왜 한쪽 구멍만 막힐까?
- 건강·웰니스/다이어트TIP
- 2016. 11. 3. 13:49
코는 신비의 기관입니다. 왜 2개의 구멍이 있는 것일까?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때 등 왜 한쪽 구멍만 막히는 것일까요?
전문가에 따르면 이는 생식기와 관련이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바지 속에 있는 생식기는 커지거나 줄어들거나 하는 조직이지만, 이와 같은 것이 콧 속에도 있다고 합니다. 코와 성기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죠.
호주에 있는 주하는 칼 크루 박사에 따르면 콧구멍의 한쪽이 막혀 답답함을 느낄 때, 다른 한쪽은 막히지 않고 불쾌한 느낌이 나는 것은 코의 해부학적 구조에 원인이 있다고 합니다.
콧구멍은 한쪽씩밖에 사용되지 않은
콧구멍은 2개가 있지만 양쪽을 동시에 쓰는 것은 아닙니다. 평소 호흡을 하고 있을 때는 한 쪽 밖에 쓰지 않습니다. 하루 동안 한쪽 콧구멍으로 호흡을 하는 동안 다른 한쪽은 쉬게 하고 몇 시간마다 교대합니다. 이 명령을 내리는 것은 소화나 심박 수를 제어하는 자율 신경계입니다.
콧구멍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생식기의 그 부분과 같은 조직으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가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하면서 콧구멍을 컨트롤하는 것입니다.
왜 코의 구멍은 번갈아 사용되는가?
이런 코의 기능은 단지 콧구멍을 쉬게 하는 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후각을 예민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후각 수용체도 연계하여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코 막힘을 교대로 대체함으로써 들어간 공기가 젖어 있던 점막이나 섬모(콧속의 미세한 털)를 건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콧구멍을 말리거나 균열에서 지키는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 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