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0대 여성 수면장애와 불면증 원인과 치료

최근에 수면 장애를 겪는 사람이 크게 늘어 났다고 합니다. 그것도 30대 여성에게서 가장 높게 나왔다고 하네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3년간의 진료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로 인한 진료 인원이 지속적으로 증가 했다고 합니다.


30대 여성이 증가한 이유로는 직장의 스트레스를 받는 30대 여성이 가장많은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직장의 대인관계와 과도한 업무 그리고 집에서의 육아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 것이 원이 아닐까요?


그리고 공단에서는 수면에 가장 많은 악영향을 주는 것을 스마트폰으로 꼽았습니다. 잠자리에 누워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런 습관을 버리지 못하면 수면장애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란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수면장애 종류로는 '불면증',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을 포함함 


불면증의 증상은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고, 새벽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 수면부족 상태가 되어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감, 졸음, 의욕상실 등의 결과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입니다.



불면증의 원인은


평소 수면리듬이 불안정한 경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수면리듬이 더욱 심하게 악화되고 그 결과 잘못된 수면습관을 가지게 되면서 불면증이 생기게 됩니다.

우울증,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불면증상은 흔히 나타납니다.


기타 각성제, 알코올, 카페인과 같은 약물에 의해서도 수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 치료와 관리


스트레스를 받으면 불면증이 생기고 불면증이 생기니까 스트레스를 야기해 악순환이 되는데 단시간에 걸쳐서 불면증을 해결하기 위한 약물요법도 필요합니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해결되고 마음이 안정된 후에도 잘못된 수면습관 등으로 인해 수면이 힘들고 자주 깨는 일이 생길 경우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 아침에 햇빛을 많이 쬐는 것도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광치료 혹은 불안정해진 수면뇌파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뇌파훈련 치료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