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갱년기에 좋은 한약 7가지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차이는 나무와 숲에 비유합니다. 서양의학은 나무로 몸에 증상이 나타나면 억제하거나 악화된 부분을 잘라냅니다. 즉 부분적인 치료입니다.


그에 반해 동양의학은 몸(숲)의 균형을 생각합니다. 즉 몸 전체의 균형을 되찾고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갱년기 장애의 원인을 '신허 (하체 근력 혈류 저하)'라고 생각하고 치료를 합니다.



하반신에 모인 혈액을 내리는 한약의 작용

 

난소는 폐경기 때까지 배란하여 매월 임신에 대비를 합니다. 임신이 되지 않으면 자궁 내막이 벗겨져 월경을 하게 되며, 난소와 자궁은 폐경을 맞을 때까지 계속해서 일을 하게 되는 것이죠.


그러나 폐경을 맞이하면 난소와 자궁의 혈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난소와 자궁은 하체에 있는 장기이기 때문에 혈류가 줄어든다는 것은 하체에 공급되는 혈류가 줄어든다는 것이죠.


지금까지 하반신에 흐르던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두열족한"이 되어 하반신은 차가워지고 상반신은 오한이나 발열, 초조 증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갱년기에 좋은 한약 7가지


갱년기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하는 한약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의 체질이나 상태는 스스로 알 수 어렵기 때문에 한의사나 한방약국 등에서 상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반하후박탕

폐경 후 우울증 증상이 있는 경우, 냉증에 지치는 체질, 신경이 예민한 체질, 목에 뭔가 막히는 느낌, 현기증, 구토 등의 증상에 좋습니다.


2. 팔미지황환

하체의 근력저하가 현저한 경우, 체력이 딸리는 경우, 당뇨병, 신장병이 있는 사람, 피로와 하반신의 오한과 통증, 저림이 있고 빈뇨·핍뇨 등의 소변의 배출에 이상이 있는 경우  


3. 당귀작약산

체력이 없으며 피부가 하얗고 부드러운 사람 - 냉증, 어깨 결림, 두통,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4. 계지복령환

비교적 체력은 있으나 얼굴이 불그레한 사람 - 어깨 결림, 두통, 현기증,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5. 사물탕

체력이 없고 안색이 나쁜 사람, 피부가 동상에 걸리기 쉽고 건조한 타입이 사람, 냉증, 어깨 결림, 두통,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6. 가미소요산

체력이 부족한 사람, 불안·불면증·초조 등의 정신 이상이 있는 경우, 냉증, 어깨 결림, 두통, 현기증, 다리는 시리고 상반신은 뜨거운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7. 육미환

상대적으로 체력이 저하된 사람, 피로와 사지의 오한과 통증, 저림과 빈뇨, 야간 빈뇨와 핍뇨 등의 배뇨 이상이 있는 경우


하체에 혈류가 저하되면 혈액은 상체에 몰리게 됩니다. 따라서 하체를 잘 움직여 혈액순환이 잘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갱년기에 좋은 한약 7가지]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